보도자료
규장각(奎章閣)
 김민수
 2012-06-18 22:03:11  |   조회: 2297
첨부파일 : -
규장각(奎章閣)





규장각(奎章閣)은 숙종이 경복궁에 설치 후 1776년 정조가 창덕궁 안에 설치하여 역대 국왕들의 친필, 서화, 고명(顧命), 유교(遺敎), 선보(璿譜)를 관리하였으며 영조의 어필(御筆), 어제(御製)를 봉모당(奉謨堂)을 세워 봉안하고, 사무청사인 이문원(摛文院) 등을 내각으로 하였으며 출판 등을 담당하던 교서관(校書館)을 합쳐서 외각으로 삼았다. 1781년 정조(正祖)는 옛 도총부(都摠府) 자리로 옮기고, 강화도에 강도외각(江都外閣)을 신축하였고 내각의 부설 장서각으로 국내 문서를 보관하는 서고(西庫)와 중국 문서를 보관하는 열고관을 만들었다. 열고관(閱古觀)의 도서가 늘어나자 다시 개유와(皆有窩)라는 서고를 증축하였으며 1781년에는 서호수(徐浩修)에 의해 규장총목이라는 도서목록이 작성되었다.

규장각(奎章閣) 관원은 내각에 종1품∼종2품의 제학 2명, 종2품∼정3품 당상관의 직제학 2명, 정3품∼종6품의 직각 1명, 정7품∼정9품의 대교 1명이 있었고, 외각에는 당상관으로 겸하는 제조 2명 아래에 정3품 판교, 종5품 교리, 겸교리, 별좌, 정, 종6품 별제, 정7품 박사, 정8품 저작, 정9품 정자, 종9품 부정자 등이 있었다. 내각에는 정식 관원 외에 재주와 학문이 뛰어난 서얼 출신의 학자를 충원하는 검서관(檢書官)이 있었다. 규장각 각신(閣臣)들은 승정원의 승지 이상으로 국왕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젊은 당하관 중에서 선발된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시험하였고 국왕의 모든 언동을 기록하였다. 국왕과 정사를 토론하고 교서를 대신 작성하기도 하였으며 정책 결정이나 편찬, 간행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1864년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어제(御製)·어필(御筆)·선원보첩 등이 종친부로 이관되어 규장각(奎章閣)은 도서 관리 기능만 남게 되었다. 1895년 갑오개혁 때 규장각은 궁내부(宮內府) 부속기관으로 편성되어 규장원(奎章院)으로 개칭되었고 1897년 규장각(奎章閣)으로 환원되었다. 1907년 11월 비서 기능이 규장각(奎章閣)으로 단일화되었고 대제학(大提學)이란 직임이 설치되었으며 대한 황실 궁내부(宮內府)가 관리한 10만 권의 대한제국 황실 전적(典籍)을 일제(日帝)가 총독부,경성제대로 불법 이관,반출하여 일본,서울대가 소장중이므로 대한제국(Daehan Empire) 제실박물관을 계승하는 고궁박물관은 황실박물관(Imperial Museum)으로 개칭하고 대한제국 황실 전적(典籍)을 이관,귀속하여야 한다.
2012-06-18 22:03:11
124.53.159.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